클레이튼(KLAY) 백서 요약 | 1초 확정·고초당 처리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KLAY) 백서 요약
1. 플랫폼 개요
클레이튼은 Kakao의 블록체인 자회사 GroundX가 개발한 퍼블릭 레이어1 블록체인입니다. 엔터프라이즈 사용과 메타버스·게임·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 최적화된 구조로 설계되었어요.=
- 즉시 확정(finality) 구조를 채택했으며, 평균 1초 블록 생성, 초당 최대 4,000건 처리(TPS) 지원=
- 가스 수수료는 기존 이더리움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매우 경제적입니다=
-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호환으로 Solidity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이 가능합니다
2. 아키텍처 구조
클레이튼은 세 개의 논리적 서브네트워크로 구성됩니다
- Core Cell Network(CCN): 블록 생성과 전파 전담.
- Endpoint Node Network(ENN): 거래 생성 및 요청 처리.
- Service Chain Network(SCN): DApp별 맞춤형 체인을 독립 운영 가능.
3. 합의 알고리즘
클레이튼은 Istanbul BFT 기반의 하이브리드 합의 체계를 채택해, 신속한 거래 처리와 높은 안정성을 모두 보장합니다
4. 유틸리티 & 토크노믹스
- KLAY 토큰은 플랫폼의 토양처럼, 트랜잭션 수수료,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등 네트워크 기여에 필수적입니다.
- 초기 발행량은 100억 KLAY, 현재 유통량은 약 30억 KLAY 수준입니다
- 블록 보상은 **BC, GF, KIR(3개 펀드)**으로 분배되며, 향후 소각(burning) 계획도 있어 공급량 감소를 통한 가치 안정화가 목표입니다.
5. 생태계 및 파트너
- 카카오 기반의 블록체인으로 카카오톡 연동 지갑(Klip) 지원, 한국 내 높은 접근성과 사용자 기반 확보
- 기업/기관 파트너: 삼성, LG, 현대 등과 협업하며, BApp 생태계 확장 중.
- 활용 분야는 DeFi, NFT, e스포츠, 게임, 심지어 한국은행 CBDC 파일럿에도 참여한 바 있습니다
요약 테이블
항목 | 내용 |
---|---|
플랫폼 | GroundX 개발, Kakao 지원 퍼블릭 블록체인 |
핵심 특징 | 1초 최종확정, 4,000 TPS, 낮은 수수료, EVM 호환 |
구조 | CCN, ENN, SCN으로 구성된 멀티서브네트워크 |
합의 방식 | Istanbul BFT 기반 하이브리드 합의 |
KLAY 토큰 | 트랜잭션 수수료·보상용, 공급 100억, 유통 30억 수준 |
생태계 | Kakao 연계 서비스, NFT/게임/DeFi/BApp/CBDC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