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hiSwap (SUSHI) 백서 요약 | 커뮤니티 기반 DEX와 AMM 구조

SushiSwap (SUSHI) 백서 요약
1. 플랫폼 개요 & 출범 배경
SushiSwap은 2020년 UniSwap의 커뮤니티 주도 포크로 탄생한 탈중앙화 거래소(DEX)입니다. AMM(자동시장형성기) 기반 유동성 풀을 사용하며, 유동성 제공자에게 SUSHI 토큰으로 보상을 제공합니다
2. 핵심 기능 및 구성 요소
- Aggregator: 여러 DEX에서 최적의 가격을 찾아주는 기능 제공
- AMM 및 유동성 제공: 사용자들이 유동성을 공급하고 거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구조
- xSUSHI 스테이킹: SUSHI 토큰을 SushiBar에 스테이킹하면 xSUSHI를 받고, 거래 수수료 일부를 보상으로 받습니다
3. 합의 구조 & 수수료 구조
- MasterChef: 수익 농사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주요 스마트 컨트랙트 구조
- 토큰 유틸리티: SUSHI는 거버넌스 토큰으로 사용되며, 의사결정 참여 및 리워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4. 토크노믹스 요약
- 총 공급량: 약 250 M SUSHI
- 유통량: 약 276 M SUSHI 이상, 초기 2주간 높은 블록 보상 이후 감소 .
- 분배 구조: 신생 토큰의 10%는 개발 펀드로 할당되었고 지속적 인플레이션 모델 채택
5. 거버넌스와 커뮤니티 구조
- DAO 기반 의사결정: SUSHI 보유자가 의결권을 행사하며, 플랫폼 방향성·토크노믹스 조정 등 주요 변화를 결정합니다
- 최근에는 Sushi Labs 설립 등 일부 중앙화 논의가 발생하며 커뮤니티 내 반발도 있었습니다
요약 테이블
항목 | 내용 |
---|---|
플랫폼 종류 | 커뮤니티 주도 DEX, AMM 기반 |
핵심 기능 | 토큰 스왑, 유동성 제공, Aggregator, 스테이킹(xSUSHI) |
토크노믹스 | 총 250M 공급, 유통 276M 이상, 개발 펀드 10% 배정 |
유틸리티 | 거버넌스, 스테이킹 보상, 수수료 수익 |
거버넌스 | DAO 기반 의사결정, Sushi Labs 설립 논란 존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