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wap (UNI) 백서 요약 | AMM의 진화: V1부터 V4까지

Uniswap (UNI) 백서 요약
1. 플랫폼 개요 & 역사
- Uniswap V1 (2018년): 이더리움 기반 최초의 자동시장조성자(AMM)로, 중개자 없이 ERC‑20 토큰 간 자유 교환 가능하게 설계됨. 단순하고 검열 저항적인 구조에 초점을 맞춤
- Uniswap V2 (2020년): ERC‑20 간 직접 페어 지원, 가격 오라클 통합, 플래시 스왑 기능 추가 .
- Uniswap V3 (2021년): 중심 기능은 농축 유동성 (Concentrated Liquidity). LP가 자본을 특정 가격 범위에 집중할 수 있게 해 수익성과 자본 효율성을 극대화함. 또한 유연한 수수료 티어, 개선된 TWAP 오라클, NFT 기반 LP 포지션 도입
- Uniswap V4 (2024년 백서 기준): Hooks 기능으로 개발자가 유동성 풀이 동작하는 전후 지점에 코드 삽입 가능. 싱글턴 구조, 플래시 회계, 다이나믹 수수료 등으로 가스 효율성과 확장성 강화됨
2. 핵심 기능 정리
버전 | 핵심 특징 |
---|---|
V1 | 간단한 AMM, ERC‑20 간 교환, 무허가·탈중앙화 중심 위키백과+2LCX+2 |
V2 | ERC-20 ↔ ERC-20 페어, 오라클, 플래시 스왑 Uniswap |
V3 | 농축 유동성, 수수료 티어, NFT LP 포지션, 향상된 오라클 Uniswap LabsUniswapUniswap DocsMedium |
V4 | Hooks 커스터마이징, 싱글턴 설계, 다이나믹 피, 현저한 가스 절감 UniswapUniswap Docs |
3. 요약 정리
Uniswap은 DeFi 분야에서 퍼블릭 AMM의 표준을 구축한 플랫폼입니다. V1부터 V4까지 발전하면서 사용자 자본 효율, 프로토콜 유연성, 개발자 확장성 모두를 고루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Uniswap V3의 농축 유동성은 수익 극대화 측면에서 업그레이드였고, V4는 탈중앙화의 범위를 마찰 없이 확장한 모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