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믹스(WEMIX) 백서 요약 | Wemix3.0, DeFi·게임·DAO까지 한눈에

위믹스(WEMIX) 백서 요약 | Wemix3.0, DeFi·게임·DAO까지 한눈에

위믹스(WEMIX) 백서 요약

1) 프로젝트 개요

  • WEMIX는 게임·콘텐츠 중심의 오픈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퍼블릭 체인(L1) Wemix3.0과 그 위에서 구동되는 DeFi·거버넌스·게임/NFT 생태계를 제공.
  • 목표: 대규모 사용자를 수용하는 고성능·저비용 인프라와 토큰 이코노미 표준화(게임 토큰, 스테이블코인, 트레저리, 거버넌스)를 결합해 실제 사용 사례(게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확장.

2) 기술 아키텍처(요점)

  • 합의/성능: PoS 기반 합의(지분 위임·밸리데이터 집합)와 최적화된 블록 파이프라인으로 낮은 지연·높은 TPS 지향.
  • EVM 호환: 솔리디티·툴체인 사용 가능 → 기존 Web3 스택(지갑, 노드, 인덱서)과 호환.
  • 모듈형 서비스 레이어
    • WEMIX.Fi: 스왑/풀/렌딩/브리징 등 DeFi 허브
    • NILE(DAO·NFT 플랫폼): 프로젝트 커뮤니티, 소셜 토큰, 거버넌스 실행
    • WEMIX PLAY: 게임 온보딩, 토큰/아이템 이코노미 도구, 지갑/마켓 연계

3) 토큰 경제

  • 네이티브 코인: WEMIX
    • 가스(수수료), 스테이킹, 거버넌스, 생태계 보상.
  • 스테이블코인 계층
    • WEMIX$(준법/담보 중심의 가치 안정 자산 지향) → DeFi·결제 단위로 활용.
  • 게임/애플리케이션 토큰
    • 각 게임/서비스가 토큰화된 인앱 경제를 구성, 크래프팅·소각 루프 등으로 수요-공급 밸런스 설계.
  • 트레저리 & 소각 정책
    • 온체인 수수료/수익의 일부를 트레저리 적립 또는 소각에 사용해 장기적 가치 안정 추구(프로토콜 파라미터로 조정).

4) 거버넌스

  • WONDERS(검증자): 네트워크 운영·업그레이드 의사결정 참여, 성능·보안 SLA 준수.
  • 온체인 제안/투표: 파라미터(수수료, 인센티브), 재무(트레저리 집행), 상호운용 업데이트 등을 지분 기반 투표로 결정.
  • 커뮤니티 DAO(NILE): 프로젝트 단위의 로드맵/예산 집행을 분권적으로 진행.

5) 생태계·인터체러빌리티

  • EVM 체인 브리지로 멀티체인 자산 유입/유출 지원.
  • 퍼블리셔·개발사 온보딩 툴킷(지갑·마켓·KYC/컴플라이언스 가이드)로 게임의 웹2→웹3 전환 간소화.
  • 크리에이터/NFT: 로열티, 멤버십, 콘서트·IP 콜라보 등 실사용 시나리오 확대.

6) 리스크 포인트(간단 체크)

  • 규제 및 스테이블코인/토큰 운영 컴플라이언스 요구.
  • 게임 토큰 인플레이션/유동성 관리 실패 시 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
  • 브릿지·DeFi 포함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중요.

요약 표

항목핵심 내용
체인Wemix3.0 (EVM 호환, PoS 기반, 고성능 지향)
레이어네트워크(L1) + DeFi(WEMIX.Fi) + 게임(WEMIX PLAY) + DAO/NFT(NILE)
토큰WEMIX(가스/거버넌스/스테이킹), WEMIX$(스테이블), 앱/게임 토큰
거버넌스밸리데이터(WONDERS) + 온체인 제안/투표 + 커뮤니티 DAO
강점대규모 게임 온보딩 경험, 도구·결제·DeFi 일체형 스택
유의규제/보안/토큰 인플레이션 관리

Subscribe to CoinWiki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example.com
Subscribe